지난번에 이어서 오늘도 대선 관련주, 대통령 선거 테마주에 대해 계속 정리합시닷
예고했던 것처럼 이번에는 대선 공약이나 정책과 연관된 종목들이 대부분.
주로 일자리 창출, 저출산 문제 해결, 세종시 이전, AI 같은 주요 정책과 관련된 테마주들로 구성돼 있음.
오늘 정리해 볼 기업은 4월 4일 금요일에 많이 오른 종목순으로 쭉~뽑았다.
유라테크, 오픈놀, 꿈비, 에르코스, 크라우드웍스, 원티드랩, 윌비스, 유라클, 웹케시, 플랜티넷.
이렇게 10종목을 천천히 알아보자.
레츠꼬우~
1.유라테크
(1) 주요사업
자동차용 점화 코일, 점화 플러그 등 차량 점화장치 전문 제조/판매
(2) 주요 매출처
현대차/기아, 현대모비스 등
(3) 왜 대선 정책 관련주, 세종시 이전 테마주인가?
- 유력한 차기 대권 주자로 떠오른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의 행정수도 세종시 이전이 주목받고 있음.
유라테크의 본사가 세종시에 위치하고 있어 앞으로 대통령실이나 행정 수도 이전이 현실화되면 수혜를 받을 것으로 기대됨.
2.오픈놀
(1) 주요 사업
진로, 진학, 창업 교육 컨설팅 등
(2)주력 서비스
구인·구직 온/오프라인 매칭 플랫폼 '미니인턴'
구직자들은 구인 기업의 실무 경험, 우수한 인재임을 증명하도록 지원해주는 서비스.
(3)왜 대선 정책 관련주, 청년 취업 테마주인가?
조기 대선이 치러지면 청년 세대의 표심을 잡으려고 후보들은 일자리 관련 공약을 내놓는 일이 항상 있음.
그럴때마다 취업 관련주가 수혜주로 주목받음.
3.꿈비
(1)주요 사업
-유아용품 제조 기업
-놀이방 매트, 유아용 침구류/ 원목 가구, 스킨케어, 세제, 반려동물 용품 판매
(2)주요브랜드
꿈비(GGUMBI), 리코코(LICOCO), 오가닉그라운드(Organic ground), 미미루(MIMIRU), 파미야(FAMIYA) 등
(3)왜 대선 정책 관련주, 저출산 테마주 인가?
저출산이 심각한 문제인 한국에서 대선이 다가오면 항상 공약으로 저출산 극복방안이 함께함.
그럴때마다 유아용품 취급 기업이 테마주로 주목받는다.
4.에르코스
(1)주요사업
주력 사업군인 영유아식품, 신규 사업군인 대체식품, 고령친화식품
(2) 주력 제품
이유식, 유아반찬, 제과/제빵/간식, 간편식/재료, 음료/건강기능식품 등
(3)왜 대선 정책 관련주인가?
에르코스는 영/유아 식품을 제조하는 영유아관련기업으로 저출산 정책이 뜰때마다 주목받는 대선 정책 관련주임.
5.크라우드웍스
(1)주요 서비스
빅데이터와 인공지능(AI) 인프라 기반의 '지능형 인공지능 데이터 플랫폼' 서비스 제공
(2) 주요사업
인공지능 데이터 구축 서비스, 인공지능 데이터 구축을 위한 통합 솔루션, 인공지능 데이터 구축을 위한 통합 솔루션, 데이터 라벨러 교육 서비스 등
(3)왜 대선 정책 관련주인가?
민주당이 'AI 강국위원회'를 공식 출범시킴. 정부 주도의 통합 인공지능 거대언어모델(LLM) 개발을 위해 다수 기업 간 협력 방안 논의.
크라우드웍스 김우승 대표는 'AI 강국위원회'의 원외 부위원장을 맡고 있어서 주목받음.
6.원티드랩
(1)주요 사업
정규직 채용매칭, 프리랜서 채용매칭, 커리어 관련 콘텐츠 제공, 근태관리/전자결재 등 HR 관련 솔루션 제공.
(2)주요서비스
지인추천/ AI(인공지능)을 기반으로한 채용 플랫폼 'wanted(원티드)' 운영.
(3)왜 대선 정책 관련주인가?
조기 대선 국면에서 일자리 대책이 공약으로 나올 것으로 예상되며 취업 관련주가 수혜를 받을 것으로 기대됨.
7.윌비스
(1)주요 사업
섬유사업, 교육사업 영위
(2)주요 바이어
GAP, OLD NAVY, HANESBRANDS, THE CHILDREN'S PLACE, KOHL'S 등
(3)왜 대선 정책 관련주, 저출산 테마주인가?
윌비스는 자체 브랜드 '자연생각'을 통해 친환경 유아 용품을 판매하는 중. 역시 저출산 정책이 이슈될때마다 떠오르는 영유아 관련주로 구분됨.
8.유라클
(1)주요 사업
모바일 비즈니스 플랫폼(모피어스 스위트)제공 , 모바일 운영/유지보수 사업 영위.
(2)특이사항
모바일 채널 특화 솔루션(모피어스 하이브리드 앱, 모피어스 푸시, 모피어스 메시지 등) 보유, 모바일 표준화 서비스 구축 업무 수행.
(3)왜 대선 정책 관련주인가?
유라클은 본격적으로 인공지능(AI) 기업으로 전환하고 있음. 최근 LG AI연구원과 인공지능(AI) 사업 협력을 위한 파트너십도 체결.
민주당 이재명 대표가 'AI강국위원회 위원장'을 역임 하고 있는데, 앞으로 AI정책 관련으로 수혜 받을 것으로 기대.
9.웹케시
(1)주요 사업
B2B 핀테크 서비스
(2)주요 서비스
금융 핀테크 플랫폼으로 금융기관, 기업내부시스템(ERP) 연계, 금융과 회계가 통합된 기업자금관리시스템
(3)왜 대선 정책 관련주인가?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가 지역화폐를 밀고 있어서, 웹케시는 지역화폐 예산이 증액된다면 수혜주로 떠오름.
웹케시는 지역사랑상품권, 간편결제, 모바일 온누리상품권, 지역사랑상품권, 모바일 브랜드 상품권 등의 서비스를 제공중.
계열사인 비즈플레이, 쿠콘은 한국간편결제진흥원에 출연해 지역사랑상품권 등의 운영 관리를 맡고 있음.
이재명 관련주 테마주 BEST 10
오랜만에 쓰는 글이 정치 테마주라니... 요즘 우리나라 주식시장의 암울한 분위기를 잘 나타내고 있음 ...또르륵ㅜ얼른 이 어수선한 시기가 지나가고, 다시 좋은 날이 찾아왔으면 좋겠다. 윤석
lunablossom.tistory.com
10.플랜티넷
(1)주요 서비스
국내 최초 인터넷 망을 통한 유해 사이트필터링 서비스 제공.
(2)자회사
-플랜티엠을 통해 매장 내 배경음악/영상서비스, 디지털사이니지 등 미디어콘텐츠 사업을 영위
-알바트로스인베스트먼트를 통해 벤처투자사업도 영위.
(3)왜 대선 정책 관련주인가?
청년 일자리 정책 강화에 대한 기대감으로 플랜티넷의 벤처 투자/ 청년 창업지원 사업이 부각됨.
플랜티넷은 자회사 알바트로스인베스트먼트를 통해 청년 중심의 초기 스타트업과 중소기업에 투자중이고, 청년 고용 확대에 기여했다고 알려짐.
과거 성남시와의 협업을 통해 지역 기반 청년 창업 생태계 조성에 참여한 경험도 있음.
이 밖에도 대선 대통령 선거 관련주는 아주 많음.
안랩, 평화산업, 오파스넷, 보광산업, 대주산업, 아가방컴퍼니, 휴맥스, 포메탈, 한솔홈데코, 화신정공,위즈코프, 세원물산, 진양폴리, 데이원컴퍼니 등...
금요일에 급등한 종목 중 정리 못한게 아직도 한참 남음.
▼이 전에 정리한것 참고하기!
조기 대선 관련주 대통령 선거 테마주 12종목
오늘 역사적인 날로, 하루종일 시장은 롤러코스트~특히 정치테마주 그 중에서도 대선 주자들의 관련주들이 급등하며 주목받음. # 관련 뉴스 정리- 4일 오전 11시22분 헌법재판소는 재판관 전원일
lunablossom.tistory.com
이재명 관련주 테마주 BEST 10
오랜만에 쓰는 글이 정치 테마주라니... 요즘 우리나라 주식시장의 암울한 분위기를 잘 나타내고 있음 ...또르륵ㅜ얼른 이 어수선한 시기가 지나가고, 다시 좋은 날이 찾아왔으면 좋겠다. 윤석
lunablossom.tistory.com
AI 관련주 대장주 11종목
2024년 첫 포스팅~ 그 시작은 오랜만에 AI 인공지능 관련주! # 챗GPT(Chat GPT) 개발사 '오픈AI'가 맞춤형 GPT를 사고팔 수 있는 'GPT 스토어'를 출시한다는 소식에 국내 AI/인공지능 관련주들이 급등. - 오
lunablossom.tistory.com
아마 당분간은 정치 테마주들이 계속해서 급등락을 반복할 가능성이 높아 보임.
다음 시간에도 관련 내용을 다시 정리해서 다뤄보겠음.
테마주는 항상 조심하세요! 다들 굿럭~ 뿅!
'주식 핫이슈: 관련주, 테마주, 대장주 > 정치 테마주' 카테고리의 다른 글
김문수 이재명 홍준표 한동훈 안철수 관련주 일자리 저출산 테마주 19종목 (2) | 2025.04.07 |
---|---|
조기 대선 관련주 대통령 선거 테마주 12종목 (4) | 2025.04.04 |
이재명 관련주 테마주 BEST 10 (1) | 2025.04.02 |
한동훈 관련주 대장주 15종목 (1) | 2023.11.20 |
용산 이전 관련주 테마주 9종목 (0) | 2022.03.30 |
윤석열 관련주 테마주 12종목 (0) | 2022.02.20 |
윤석열 관련주 테마주 21종목 (0) | 2021.11.08 |
홍준표 관련주 테마주 13종목 (0) | 2021.09.07 |
댓글